스페이스 인터넷 즉 우주 인터넷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우리나라는 인터넷 강국이기 때문에 인터넷의 필요성에 대해서 잘 느끼지 못합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기술이 발달하지 않은 나라 또는 험난한 지형이 많은 나라에서는 인터넷을 위해 필요한 케이블 설치가 쉽지 않습니다.

전세계 인구의 절반이라고 할 수 있는 30억명 이상이 인터넷을 마음껏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뜨고 있는 것이 바로 스페이스 인터넷입니다.

 

스페이스 인터넷 현황과 원리

 

방해를 받을 물체가 없는 하늘에 케이블이 있으면 어떨까? 하는 발상에서 시작된 것일 수 있습니다.

사실 이와 유사하게 인공위성을 이용한 통신을 이미 만들었던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비싼 가격과 활용성등의 문제로 인해 기억 저편으로 사라져갔는데요.

지금은 그때와 많이 다릅니다.

 

구글의 경우 20km 상공에 기구를 띄워 기구끼리 무선으로 연결해서 인터넷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개발했습니다. 이미 개발도상국을 상대로 시험 운영을 시행했지만 안타깝게 서비스를 접기로 했습니다.

그 이유는 수익창출 및 비용 절감의 실패와 다양한 위험 요인 때문으로 발표되었습니다.

 

테슬라의 창업주인 일론 머스크는 스페이스 X라는 회사를 통해 스타링크 프로젝트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기구가 아닌 인공위성을 1100km 상공에 띄운뒤 그물망처럼 촘촘하게 연결을 시키려는 것입니다.

 

스페이스 인터넷 원리는 의외로 심플합니다.

지상 기지국에서 가장 가까이 떠있는 위성으로 데이터를 발사한 뒤, 위성이 연결된 위성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받아야 하는 곳에서 가장 가까운 지상 기지국으로 발송해주는 것입니다.

 

스페이스 인터넷 속도는?

 

인터넷 속도에 대해서 우려를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스페이스 x의 인터넷 속도는 100Mbps 정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기가인터넷을 쓰는데 그 정도로 뭘해? 라고 할 수 있는데요.

전세계 인터넷 속도 평균은 6Mbps이며, 한국도 25Mbps가 평균이라고 하니 스페이스 인터넷이 느리다고 할 수 없을 것입니다.

 

2021년 현재 스타링크는 시범 서비스가 진행중이며, 사용자수가 만 단위로 증가했습니다.

북미에서 베타 서비스가 진행중이며, 유럽 및 인도에서도 스타링크 서비스가 예정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스타링크를 사용할 날이 멀지 않았을것 같습니다.

아직 서울은 서비스 지역이 아닙니다.

스페이스 인터넷 서비스가 성공을 하려면 지구 저궤도를 스타링크 위성으로 촘촘하게 채워야 하는것이 관건입니다.

목표는 2027년까지 1만 2천개를 우주로 보내는 것이 목표라고 합니다.

왜 스페이스 인터넷인가?

 

우주 인터넷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일론 머스크만이 아닙니다. 애플, 아마존, 구글, 페북 등 다양한 회사들이 우주 인터넷 사업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뭘까요?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등등 미래 산업의 먹거리의 핵심은 빠르고 정확한 인터넷입니다.

또한 전세계를 아우르는 서비스가 밑바탕이 되어야 하는 것도 당연합니다

서두에 언급했듯이, 전세계에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기존 광케이블 방식은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스페이스 인터넷이라면 불가능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즉, 우주 인터넷을 선점하는 회사가 미래 먹거리의 주인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이러한 우주 인터넷 시장의 가치를 2040년 기준으로 600조원에 가깝게 책정하고 있습니다.

 

스페이스 인터넷의 문제점

 

잠깐 생각을 해봐도 우주를 인공위성으로 덮는 것이 발생시킬 문제점들은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중 간간히 발생하고 있는 우주 인공위성의 폭발 문제가 그렇습니다. 아직 기술이 완벽한 것이 아니라서 시행착오의 과정을 좀 더 거쳐야 합니다.

 

또 하나 문제점은 천문학계의 불편함입니다. 하늘을 덮고 있는 다수의 우주 인공위성 때문에 별자리 관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 보완책을 마련중이라고 하는데요.

무엇이 되든 새로운 기술은 다양한 시행착오가 필수이므로, 실패에 굴하지 않는 끈기와 도전이 더 중요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Recent posts